-
토플 [biology] Termites 흰개미과 곤충토플 배경지식(리딩&리스닝) 2019. 4. 30. 16:09
Termites...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가끔 외국 방송 다큐멘터리 특집에 소개될만한 주제인 것 같네요.
토플 문제집을 풀다 보면 Termites에 대해서 꼭 지문이 출판사별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엄청나게 다양한 출판사들의 문제집을 풀어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번 보았다는 것은 토플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었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아직까지 실제 시험에서는 본 적이 없습니다.
그래도 비중있게 출판사별로 다루기 때문에 한번 공부해봤습니다.
[1] Termites 소개
Termites는 무리로 살아가는 사회적 곤충으로, 때로는 흰개미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흰개미와는 여러 특징들이 완전히 다른 곤충입니다.
우선, Termites는 다른 개미나 벌, 나비들과는 다르게 불완전 변태(incomplete metamorphosis) 과정을 거칩니다. 불완전 변태는 반 변태라고도 불리며, 번데기 과정이 없이 알(egg)->애벌레(nymph)->성충(adult)의 3단계의 과정(in three life stage)을 지닙니다. 그리고 중간 과정의 애벌레는 완전변태의 유충과 구별하기 위해 약충(nymph)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잠깐, 완전 변태(complete metamorphosis)의 형태도 확인하고 갈께요! 완전 변태(complete metamorphosis)는 총 4단계(in four life stage)를 가집니다. 알(egg)->유충(larva)->번데기(pupa)->성충(adult)의 과정입니다. 대표적인 곤충들의 예로는 나비, 파리, 꿀벌, 모기 등이 속합니다.
다시, Termites는 다른 개미들과는 다르게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입니다. 이제 완전히 다른 게 느껴지셨겠죠?
또한, Termites는 일하는 계급과 군인 계급의 termites 들이 암컷과 수컷 둘 다 구성되어있고 여왕 termite는 한 마리의 수컷 배우자와 계속 살지만, 다른 일반적인 곤충들의 일하는 계급과 군인 계급들은 오직 암컷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여왕에게 태어난 모든 암컷들은 성충이 되자마자 교배를 하고 그 후로는 다시는 교배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2] Termites의 환경과 termites의 여러 종들의 예
이제는 Termites의 사는 환경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Termites는 작고 부드러운 몸을 가지고 있어서 쉽게 건조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몸을 계속해서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습도의 환경과 높은 온도의 집이 필요합니다.
1) Subterranean termites (지하 termites)
어떤 termites는 지하에서 사는데 미국 동부 전체를 걸쳐서 번식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집을 나무와 연결되어 있는 습기 있는 흙에 만듭니다. 이때 이 나무는 그들의 유일한 먹이입니다. 그 집 주변의 흙은 둥지의 습도를 유지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날씨가 추워지면, 지하 termites는 지하 동결선(frost line) 밑으로 더 굴을 파고 들어가서 생활을 유지합니다.
+지하 동결선(frost line) 들어보셨나요? 날씨가 추워졌을 때 어느 정도 깊이까지 들어가면 흙 속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얼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때, 윗부분의 어는 부분과 아랫 부분의 얼지 않는 부분의 경계선을 지하 동결선이라고 합니다.
2) Tropical termites (열대 termites)
또 다른 열대지방에 사는 termites는 굉장한 건축가입니다. 이들은 지상위로 거대한 집을 만드는데 쾌적한 공기를 가질 수 있도록 공기 조화(air conditioning) 기능까지 함께 만든다고 합니다.
+공기 조화(air conditioning)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것은 termites의 집의 습도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고 산소를 계속해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장 건축적으로 발전되어 있는 집을 짓는 termites 는 아프리카 종, Macrotermes natalensis입니다. 이들은 16 feet 높이에 이르고 가장 밑지름이 16 feet까지 되는 아주 큰 집을 짓는데, termites의 침과 흙을 섞어서 만든 아주 두꺼운 벽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이 두꺼운 벽은 내부의 미기후(microclimate)를 외부의 다양한 습도와 온도변화로부터 잘 보존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집의 바깥부분에는 여러 좁고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가장 밑부분부터 거의 꼭대기까지 이어져있습니다.
Macrotermes natalensis는 하나의 집에 대략 이백만 마리의 termites가 함께 산다고 합니다. 이들 중 대부분의 termites와 그들 집 내부안에 있는 먹이의 신진대사는 집 내부를 따뜻하게 하고 약간의 수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집 외부에 흙으로부터 물을 옮겨 적셔서 상대적으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기서, 신진대사 또는 물질대사(metabolism)라고도 하는데요, 잠깐 설명하고 넘어갈께요! 모든 생물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고 그 물질들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물질로 다시 합성하기도 하고, 분해하기도 하면서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노폐물 같은 것을 배출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생물체가 자신의 생명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진행하는 모든 과정들을 물질대사라고 부릅니다.
다시 termites의 집에 대해서 계속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ermites의 집은 굉장히 두꺼운 벽과 습기로 싸여있습니다. 하지만 termites들은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적당량의 산소가 필요한데 이 두꺼운 벽을 통해서는 산소가 공급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이 영리한 termites들은 집을 지을 때 산소가 들어가고 이산화탄소는 배출할 수 있는 공간까지 만들어서 집을 짓습니다.
산소가 들어오는 과정에 대해서 좀더 자세하게 알아볼께요!
집 중앙에는 곰팡이들이 자라는 큰 공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공간 밑에 cellar 라고 하는 빈 공간이 있고 곰팡이들이 자라는 공간 위쪽으로는 attic이라는 빈 공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집 외부 벽을 따라서 벽으로 쌓여있는 좁고 작은 많은 터널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터널들은 cellar와 attic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곰팡이가 자라는 곳의 따뜻한 공기가 attic까지 올라가면, attic의 공기들은 작은 터널들을 통과하여 곰팡이 방 밑부분의 cellar로 흘러 들어갑니다. 그리고 이 통로에서 산소는 들여보내고 이산화탄소는 배출하여 공기를 순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이 통로의 벽은 얇습니다. 다시, 이러한 터널을 거쳐서 cellar로 간 공기는 산소가 풍부하고 이것은 다시 집 거주자들에게 깨끗하고 풍부한 산소를 제공하고 다시 위로 올라가며 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
[전문용어]
- consort 배우자, 어울리다
- caste 계급
- ventilate 환기하다
- desiccate 건조시키다, 마르다, 생기를 잃게 하다
- subterranean 지하의
- attain 이루다
- metabolism 신진대사
- ingenious 독창적인
- saliva 침, 타액
- occupant (주택, 방, 건물 등의) 사용자
- attic 다락
- cellar 지하 저장고
[참조]
두산백과/공기조화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139&cid=40942&categoryId=32824
두산백과/물질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901&cid=40942&categoryId=32312
'토플 배경지식(리딩&리스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플[art history] Dadaism 다다이즘 (0) 2019.05.27 토플[biology] Coral reef 산호초 (0) 2019.05.24 토플[environment science] Renewable energy 재생 에너지 (0) 2019.04.26 토플 [astronomy] Stars 별의 탄생과 죽음 (0) 2019.04.25 토플 [history] Industrial Revolution 산업 혁명 (0) 2019.04.17 댓글